오늘 수업에서는 CSS를 활용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다.
이미 배운 내용이라고 생각했는데 자세히 살펴 보니 비어 있던 부분들이 있어
열심히 메모하고 암기하며 실습에서 적용해 보려 했다.
반응형 웹에 적합한 CSS 활용
font-size
px은 절대 단위라서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서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font-size는 rem 단위로 설정하자.
※ rem과 em의 차이
rem은 최상위 요소(html)의 font-size를 기준으로 한 값이고
em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요소의 font-size를 기준으로 한 값이다.
width, height
viewport 대비 상대적 크기가 중요한 경우에는 vw, vh를 활용하면 좋다.
margin, padding 초기화하기
*{margin=0; padding=0}으로 여백을 삭제해 준다.
더불어 *{box-sizing: border-box로 설정해 두면 padding과 margin을 포함한 값을 기준으로
width와 height를 설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CSS 선택자
CSS3 Selector | PoiemaWeb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HTML 요소(Element)의 style(design, layout etc)을 정의한다. 그리하려면 HTML이 존재하여야 하고 또한 style을 적용하고자하는 HTML 요소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
poiemaweb.com
attribute selector들이 좀 헷갈려서 검색을 하다가 좋은 레퍼런스를 찾게 됐다.
선택자에 관한 설명도 좋지만 사실상 프론트엔드에 관한 거의 모든 것(리액트 빼고)을 정리해 둔 사이트다.
종종 들러서 헷갈리는 것이 있을 때 들여다 보기 좋을 것 같다.
자기소개 페이지 만들기
오늘 내가 만든 자기 소개 페이지.
어제 만든 것을 CSS로 꾸미는 작업을 했다.
색깔 사용이나 폰트 사용 등 디자인적 요소를 구상하기가 상당히 힘들었다.
float 사용 시 겪은 문제
그리고 이미지 뒤에 넣은 연녹색 그림자를 배치하는 데도 애를 먹었다.
float를 사용해서 배치했는데 position: relative로 설정하면 원이 자리를 차지하고 다른 요소들을 밀어내서 곤란했고,
position: absolute로 설정하면 그런 문제는 해결되는데 창의 크기가 변하면 배치가 달라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float 자체가 텍스트 속에서 텍스트를 밀어내고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 만든 기능이므로
이미지를 겹쳐서 사용하는 데 이용하기는 부적절한 것일까?
오늘은 float와 flex, postion에 대해서 좀 더 공부를 해 보고 수정 작업을 거쳐야겠다.
'코드스테이츠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I] CLI(Command-Line-Interface) 다루기 (0) | 2023.02.24 |
---|---|
[CSS] flex의 활용(서로 다른 column에 있는 item 어긋남 해결하기) (0) | 2023.02.16 |
코드스테이츠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2일차 후기 (0) | 2023.02.14 |
코드스테이츠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1일차 후기 (0) | 2023.02.13 |
코드스테이츠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44기 합격 후기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