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React

[React] useRef

음식 주문 앱 마지막 포스팅입니다..(아마도) 오늘 할 일은 사용자가 메뉴 수량을 선택하고 Add 버튼을 누르면 카트에 메뉴의 수량이 전달될 수 있도록 useRef를 사용하고 수량을 받는 input 요소에 ref를 다는 것이다. 그럼 레쯔고!!🙌 useRef 무엇일까 const ref = useRef(initialValue) useRef를 호출하면 {current: value} 이렇게 생긴 객체를 반환한다. 이 ref 객체는 state처럼 값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으로 사용된다. state와 가장 다른 점은 ref의 값이 바뀌어도 컴포넌트가 재렌더링되지 않고, 재렌더링더라도 ref에 저장된 값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재렌더링되더라도 값을 보존해야 할 때, 또는 값의 변화로 인한 너무 잦은 재렌더..

React

[React] useReducer

이 글을 쓰는 날이 오고야 말았다. 잘 할 수 있을지 겁이 나지만.... 뭘 알고 뭘 모르는지 파악하는 차원에서 써보겠다. 음식 주문 앱 페이지인데.. 아마 이걸로 포스팅 세개는 쓸 것 같다. useRef까지 정리해야 하니까. useReducer로 할 일은 메뉴판에서 add 버튼을 눌렀을 때 오른쪽 상단 카트 아이콘에 음식 수량이 추가되게 하는 것이다. 상당히 간단해 보이지만... 머리를 세번은 뽀개야 겨우 만들 수 있다🥲 useReducer 왜 쓰나? useReducer 훅은 복잡한 상태 관리를 보다 쉽게 만들어준다. useState만으로는 상태 관리가 쉽지 않을 때 useReducer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Context API와 함께 사용하면 강력한 효과를 낼 수 있다. useReducer 알..

React

[React] Context API

이번주 내내 내 머릿속을 지배한 Context API.. 이제 블로깅을 하고 잠시만이라도 보내주자...🥲 Context API Context API는 리액트에서 제공하는 전역 상태 관리 도구다. 애플리케이션이 복잡해지고 너무 많은 상태가 있으면 상태 관리가 어려워지고 과도한 props drilling, 즉 후손 컴포넌트로 props 넘겨주기가 나타날 수 있다. Context API를 사용하면 전역에서 상태를 관리하며 필요한 컴포넌트에만 상태를 공급해 줄 수 있다. 다만 컨텍스트는 꼭 필요할 때만 써야 한다. 컨텍스트를 사용하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오직 props drilling을 막기 위해서라면 컴포넌트 합성이 더 좋을 수도 있다고 한다. Context API 사용하기 컨텍스트는 만들..

React

[React] useEffect 사용하기

useEffect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useEffect를 사이드이펙트를 다루는 훅이라고도 하는데, 사이드이펙트란 컴포넌트의 주요 목적인 화면에 렌더하는 것 이외의 효과를 말한다. 즉, ui를 생성하고 변경하는 것 이외에 애플리케이션에서 벌어지는 모든 변화를 사이드이펙트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ttp 요청을 보내거나, 타이머를 설정 및 관리하는 것 등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 useEffect가 유용하다. 1) 마운트/ 언마운트 시에 특정 함수를 실행하고 싶다면 2) 특정 값의 변화에 따라서 어떤 조작을 하고 싶다면 useEffect는 매개변수로 콜백 함수와 그 함수의 의존성을 담은 배열을 받는다. 의존성이란 무엇이 변했을 때 콜백 함수가 ..

React

[React] state, props

props 컴포넌트 속성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요소로, 부모로부터 전달받은 값을 담고 있다. props는 객체 형태로, 어떤 형태의 값도 자유롭게 담아서 전달할 수 있다. 또, props는 읽기 전용이므로, 하위 컴포넌트에서는 수정하지 못한다. 이는 리액트에서 데이터 흐름이 top-down의 단방향 흐름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특징 때문에 여러 컴포넌트에서 공유하는 데이터가 있다면 해당 컴포넌트들이 공유하고 있는 부모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위치시키고 props를 통해 각 후손 컴포넌트들에 전달해야 한다. 실습하면서 useState를 어디에 둬야 할지 계속 헷갈렸는데 이 점을 꼭 기억하자! state 컴포넌트 내에서 계속 변하는 값이 state다. '상태'라는 것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

React

[React] React Router 사용해 SPA 만들기

1. SPA(Single Page Application) SPA는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여러 페이지가 존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페이지인 것을 말한다. 멀티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는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매번 새롭게 리소스를 받아와 표시하지만 SPA는 html을 한번만 받아 오고 페이지 이동 시에는 변화가 필요한 부분만 새롭게 데이터를 받아 온다. 이렇게 페이지를 구성하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속도가 향상되고 더 부드러운 페이지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비해 처음 페이지를 표시할 때 거의 비어 있는 html 페이지를 받아 오고 나머지는 자바스크립트를 통해서 내용을 구성하다 보니 첫 로딩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SPA에서 또 한가지 단점이..

React

[React] 리액트의 원리와 특징

1. 리액트의 주요 특징 리액트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오로지 UI에만 집중한 라이브러리다. 리액트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을 지향한다. 선언형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내가 이해한대로 표현하자면 '목적'을 분명히 밝힌다는 것이다. 명령형 vs 선언형 프로그래밍을 말할 때 'how'와 'what'의 차이라고도 하는데, 'what'을 밝힌다는 것은 지금 이 코드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한다는 것이다. 그에 비해 'how'가 중점이 되면 어떻게 목적에 도달하는지를 그 과정을 상세하게 표현한다. 리액트는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는데, 컴포넌트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기능을 하는 코드들을 묶어 놓은 것이기 때문에 컴포넌트를 제 용도에 맞게 잘 활용하면 그 기능을 어떻게 구현했는지는 컴포넌트 속에 감춰진 채 겉으로 드러난..

JeanneLee57
'React'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